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 예방법
    운동 2023. 7. 9. 15:37
    728x90
    반응형

    연령이 높아지는 것과 함께 근감소증(근감소증후군 또는 근위축)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는 여러 요인들에 기인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령과 호르몬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아야 합니다.

     

     

     

    1. 호르몬 변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호르몬 수준이 변화하게 됩니다.

    성장 호르몬,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은 근육 조직의 형성과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호르몬 분비량이 감소하게 되어 근육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은 근육 섬유의 합성을 촉진하고 근육의 크기와 수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장 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하게 되어 근육의 섬유 형태와 크기를 감소시킵니다.

     

    테스토스테론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중요한 성별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근육 조직의 합성과 인슐린 성장 인자-1의 생성을 촉진합니다. 그러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감소하게 되어 근육 조직의 손상을 초래하고 근력 감소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

     

    여성에게 특히 중요한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근육 조직을 보호하고 근감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에스트로겐 분비량도 감소하게 되어 근육 조직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근육 대사 활동 변화

     

     

    근육 조직은 합성과 분해 과정을 통해 형성됩니다.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근육 대사 활동도 변화하게 됩니다. 근육 단백질의 합성 속도가 저하되고 분해 속도가 증가하여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이는 근육 조직의 손실을 초래하고 근감소증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3. 신경-근육 연결 변화

     

     

    신경은 근육 조직과의 상호작용과 운동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신경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는 신경과 근육 간의 연결을 방해하거나 근육의 기능을 손상시켜 근력의 감소와 근감소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4. 노화에 따른 혈류 감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혈관 시스템도 변화합니다.

    노화로 인해 혈관이 경화되고 혈류량이 감소하게 되면 근육 조직에 산소와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게 됩니다. 이는 근육의 기능 저하와 근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호르몬 변화와 함께 근감소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한 생리적인 변화와 상호작용하는 여러 요인들로 인한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근육 조직의 형성, 유지, 대사, 신경-근육 연결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작용하여 근감소증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근감소증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 근력 운동, 신체 활동 증진, 호르몬 조절 등을 고려하는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연령에 따른 근감소증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Magazine Lab